내가 자주 접하게되는 질문 중 하나는 "노트북 디스플레이가" 꺼져요 였다.
특히 노트북을 사용하시는 분들이 자주 질문을 남기시는데, 화면보호기 설정을 하지 않았는데 화면이 꺼진다는 질문이다.
노트북에서는 디스플레이를 끄는 설정은 하나가 아니기 때문에 모두 확인해주는게 좋다.
첫번째, 화면보호기 설정
화면보호기는 컴퓨터에 입/출력이 없을 경우 자동으로 모니터가 절전상태가 되는 설정이다.
설정 -> 개인설정 -> 잠금화면 -> 화면보호기로 접근이 가능하고, 제어판을 통해 접근하는 경우 "하드웨어 및 소리"-> "전원 관리"에 포함되어 있다. 편한 경로로 접근하면 되며 제어판내 검색 or 설정 내 검색을 이용해 쉽게 접근하여 설정할 수 있다.
Tip. 나는 화면보호기를 없애고 자리를 비울 때는 키보드의 "win + L"키 단축키를통해 화면을 잠금상태로 둔다.
두번째, 전원관리 옵션
"설정" -> "시스템" -> "전원 및 배터리"로 이동하면 전원을 사용할때와 베터리를 사용할 때에 나눠서 화면을 끄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또한 제어판으로 접근하는 경우 "하드웨어 및 소리" -> "전원 옵션"에 포함되어 있고 데스크탑에 익숙한 사람들은 잘 모르기에 화면이 꺼지는 경우가 많다.
노트북 전원이 꺼지는지 확인하기
노트북은 기본적으로 "절전"상태가 된다는 걸 모르는 분들이 많다.
컴퓨터는 데스크탑과 노트북 모두 "대기전력"이 있어야 좋은 관리상태가 유지된다.
이것은 베터리 수명과는 별개며 간단한 예로 물을 쓰지 않는다고 "수전을 차단"하면 안되는 이유와 같다.
데스크탑의 경우 파워선의 전원을 끄지 않기 때문에 관리에 문제가 되지 않지만,
노트북의 경우 전원선을 항상 연결중이지 않기 때문에 전원을 완전히 끄지 않고 베터리의 전력을 끌어오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흔히하는 "전원버튼", "노트북 닫기"는 전원을 끄는 것이 아니라 절전이다.
위에서 보았던 "전원 옵션" 내부에서 전원을 누를 때 그리고 덮개를 닫을 때 수행할 작업을 설정할 수 있다.
나는 개인적으로 컴퓨터를 켜둔 상태로 유지하는 걸 좋아하고, 주기적으로 재부팅을 통해 메모리를 비워주는 걸 선호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위 사진경로의 "전원 옵션"을 수정하여 완전히 끄거나 데스크탑수준의 높은 절전상태로 변경이 가능하다.
그럼에도 화면이 꺼지는 분에게
간혹 설정에 문제는 없으나 지속적으로 디스플레이가 꺼짐이 발생하는 분들이 있을 수 있다.
이때 "장치 관리자"에 접속해서 그래픽 드라이버를 업데이트 해보고,
"Windows + Ctrl + Shift + B"를 눌러 그래픽 드라이버를 재시작 해본다.
그럼에도 문제가 있다면 내부 장치에 접촉불량이나 고장이 의심됨으로 가까운 서비스센터에 방문하는걸 권장한다.
그럼 2만
'씩씩한일상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전하다 받은 벌점 내리는 방법 모르는 사람 없지? (0) | 2025.02.25 |
---|---|
window 부팅시 우측 하단(시작메뉴)에 광고제거 하기 (0) | 2025.02.20 |
이번주 쿠팡잇츠 선착순 이벤트 브랜드는 뭘까 (1) | 2024.11.25 |
네이버 포인트 전환으로 숨은 돈 찾기! feat.싸지방 (1) | 2024.11.23 |
청년이라면 기능사, 기사 시험 50% 할인되는거 아시나요? (1) | 2024.11.14 |